Coursera 글로벌 스킬 리포트가 주목한 인재 시장의 변화
1. 서론
전례 없는 속도로 진화하는 글로벌 노동 시장은 급격한 기술 발전, 변화하는 경제 환경, 그리고 특화된 기술 수요 증가에 따라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1억 7천만 명 이상의 학습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Coursera Global Skills Report 2025는 전문가, 조직, 그리고 국가가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데이터 기반으로 심층 분석합니다.
특히, 생성형 AI(GenAI) 교육의 폭발적인 성장과 마이크로 크레덴셜의 부상을 중심으로, 향후 일자리 환경을 형성할 주요 트렌드를 전략적으로 조망합니다.

목차
- 서론
- 2025년 글로벌 주요 트렌드
- 라틴아메리카·베트남·인도네시아, 폭발적 성장세
- 사이버 보안 인력 수요 급증과 교육의 역할
- 노동 시장의 대변화와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부상
- 디지털 포용과 생성형 AI 분야의 성별 격차
- 스킬 퍼스트(Skills-First) 채용, 인재 경쟁력의 새로운 표준
- 결론
2. 2025년 글로벌 주요 트렌드
2025년의 학습 환경은 디지털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수요가 높은 기술 역량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관련 수강 등록은 전년 대비 195% 급증하며, Coursera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에 Coursera는 109개국의 AI 도입·확산 역량을 측정하는 AI 성숙도 지수(AI Maturity Index)를 새롭게 발표했습니다. 순위에서는 싱가포르, 스위스, 미국이 선두권을 차지했습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30년까지 전 세계 노동자의 59%가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전망합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마이크로 크레덴셜과 스킬 기반 채용 모델은 글로벌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미래 지향적인 인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효과적인 해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3. 라틴아메리카·베트남·인도네시아, 폭발적 성장세
2025년 현재, Coursera에는 약 700개의 생성형 AI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매분 평균 12건의 신규 등록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94%의 고용주가 생성형 AI 자격증 보유자를 채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으며, 75%는 전형적인 경력보다 GenAI 숙련자를 더 선호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선진국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 라틴아메리카: 생성형 AI 등록률 425% 증가
- 베트남: +417%
- 인도네시아: +237%
신흥 시장에서도 교육 접근성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기업과 국가가 인재 개발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구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사이버 보안 인력 수요 급증과 교육의 역할

사이버 보안 교육 등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라틴아메리카는 106%,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1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요에 비해 인력 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500만 명의 사이버 보안 전문가가 추가로 필요합니다. 여기에 생성형 AI(Generative AI)로 인한 데이터 취약성이 새로운 보안 위협을 만들어내면서, 전문 인력 수요는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고용주들은 보안 관리 전문가(Security Management Specialist)를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무 중 하나로 꼽지만, 실제로 AI 기반 위협에 대비된 인력은 절반 이하에 불과하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따라 Google의 Foundations of Cybersecurity와 같은 산업 인증 프로그램이 미래 지향적인 보안 인재를 양성하는 핵심 경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이론과 실무를 결합해, 변화하는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5. 노동 시장의 대변화와 마이크로 크리덴셜의 부상
2030년까지 전 세계 노동 시장은 1억 7천만 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동시에 9,200만 개의 기존 직무가 사라지는 전례 없는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격변 속에서 마이크로 크리덴셜(Micro-Credential)은 경력 이동성과 고용 경쟁력을 강화하는 ‘새로운 화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온라인 교육 플랫폼 Coursera에 따르면, 마이크로 크리덴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는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 고용주의 91%: 마이크로 크리덴셜을 직무 준비도 검증 수단으로 신뢰
- 학습자의 94%: 경력 발전 가속화에 효과적이라고 응답
- 고등교육 리더의 94%: 졸업생 취업 성과 개선에 기여한다고 평가
특히, 북미와 중동 지역에서는 전문 자격증 등록 증가율이 35% 이상을 기록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6. 디지털 포용과 생성형 AI 분야의 성별 격차
Coursera 글로벌 학습자 중 여성 비율은 46%로, 디지털 포용 측면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뤘습니다. 그러나 생성형 AI 분야에 한정하면 여성 비율은 여전히 약 3분의 1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카자흐스탄은 여성 학습자 비율이 56%로 가장 높습니다. 싱가포르는 여성 롤모델 발굴과 국가 차원의 이니셔티브를 통해 성별 격차 해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역별 트렌드를 보면, 베트남과 인도 등에서 생성형 AI 과정 등록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Coursera의 AI 성숙도 지수 순위는 아직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이는 교육 성과를 실제 산업 현장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7. 스킬 퍼스트(Skills-First) 채용, 인재 경쟁력의 새로운 표준
전통적인 학력 중심 채용에서 벗어나, 검증된 역량을 우선하는 스킬 퍼스트(Skills-First) 채용 모델을 도입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기업의 97%가 이미 이 방식을 채택했거나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Coursera에 따르면, 실무 중심의 프로젝트와 결과물을 포함한 전문 자격증(Professional Certificate)은 이러한 전환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채용 시 지원자의 직무 준비도를 명확하게 증명할 수 있어, 기업의 인재 선발 과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스킬 퍼스트 채용은 채용 과정의 형평성을 높이고, 다양하고 포용적인 인재 풀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전 세계 CEO의 절반 이상이 노동력 및 기술 인력 부족을 기업 수익성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킬 기반 채용 체계는 인재 경쟁력과 조직 회복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적 해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8. 결론
Global Skills Report 2025가 전하는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미래의 일자리는 더 이상 ‘다가올’ 것이 아니라 이미 현실이 되었으며, 이는 민첩성, 포용성, 그리고 평생 학습의 실천을 요구합니다.
Coursera와 같은 글로벌 학습 플랫폼은 생성형 AI, 사이버 보안, 데이터 사이언스 등 수요가 높은 기술 역량에 대한 접근성을 대중화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Codepresso와 같은 전문 플랫폼은 AI, 웹 개발, 사이버 보안 분야 등에서 실무 중심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며, 기술 교육과 역량 평가의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마이크로 크레덴셜을 적극 수용하고, 다양한 인재를 포용하며, 산업 현장과 직결된 실무 역량 개발에 집중한다면, 기업과 국가는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속에서 회복력 있고 미래에 대비된 인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개발자 진단부터 성장 관리까지, 코드프레소가 함께합니다.
지금 바로 HR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Comments ()